목차
혈액학적 검사
1. 전 혈구 검사(CBC)
2. 혈액 지혈기능검사
3. 혈액형 검사와 수혈
—————-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단백질 대사물
4. 혈액 주효소(Enzyme)
——————-
1. 전해질
2. 동맥혈 가스분석
——————-
내분비 검사 및 임신관련 검사
1. 뇌하수체 호르몬
2. 부신호르몬
3. 갑상선 호르몬
4. 부갑상선 호르몬
5. 인슐린
6. 임신검사
———————-
신장계 검사
1. 혈중 요소질소(BUN)
2. 혈청 크레아티닌
3. 요산
—————
심혈관 검사
1. CPK(CK, Creatine Phosphokinase)와 동위효소
2. 마이오글로빈과 트로포닌I
——————–
면역계 검사
1. 면역글로불린 검사
2.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3.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 검사
———————–
염증 관련 검사
1. C-반응 단백(CRP)
2. ASO(Antistreptolysin O Titer)
———————-
종양 표지자 검사
1. 혈청-태아단백(AFP)
2. 암배아 항원(cEA)
3. 탄수화물 항원(CA19-9. CA125 항원)
4. 전립선-특이항원(PSA)
———————-
1. 약물 검사
본문내용
1. 전혈구 검사(CBC)
혈액의 혈구들은 생명 유지에 필수인 산소와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이나 세균, 외부 유해물질의 침입에 대항
출혈 시에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
혈구 성분에 대한 분석을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외래 및 수술 전 기본검사
악성혈액질환의 진단 및 추적 관찰에 이르기까지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혈액검사 중 하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양적 및 질적 정보 조사
백혈구의 수. 백혈구 감별계산, 적혈구의 수, 적혈구용적률(Hct), 혈색소 농도(Hb), 적혈구지수(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적혈구분포지수(RDW)), 혈소판의 수, 평균 혈소판용적(MPV)
범혈구 감소증, 백혈적혈모구증. 심한 혈구 증가증, 원인을 알 수 없는 빈혈 발견된 경우 골수검사 시행
검체채취
보라색 마개의 진공채혈관을 사용. 정맥에서 채혈
EDTA라는 항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게 조심스럽게 흔들어 혼합
영아와 아동은 손가락이나 발꿈치의 모세혈관에서 천자하여 검체(sepcimen) 수집
천자할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 멸균된 란셋.
모세혈관을 깊게 천자 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혈액을 검사. 소아용 EDTA 용기 사용
검사적용
혈액학적 평가의 기본검사
골수 기능에 대한 정보제공
약물치료 효과 모니터링
혈액질환의 진단에 중요한 정보제공
[적혈구 검사]
1) 적혈구 수(RBC count)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 노화된 적혈구는 비장, 간 등의 세망내피계를 지나면서 파괴됨
혈구검사는 충분한 적혈구가 존재하는지, 적혈구 수가 정상으로 보이는지
백혈구는 보통 모두 같은 크기와 모양이지만 비타민B12와 엽산 결핍, 철 결핍. 다른 질환들에서 크기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
적혈구의 양이 부족한 환자는 빈혈이 있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