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구조와 기능 보고서 ( 주제-파킨슨 병)

목차

1. 서론
1) 중추신경계통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
2) 중추신경계의 기능과 대뇌기저핵

2. 본론
1) 파킨슨병의 정의
2) 황납추출물이 도파민세포 보호효과 및 파킨슨병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3) 황납추출물이 도파민세포 보호효과 및 파킨슨병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결론

3. 결론
1) 파킨슨병이 미치는 영향
2) 나의 견해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중추신경계통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 기사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의 경우 재활이 빠를수록 인지기능 향상,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등 치료 효과가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조성래 교수 연구팀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의 재활치료 시작 시기가 인지기능 향상은 물론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11일 밝혔다. 독성 단백질 알파시누클레인이 뇌에 쌓이며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다. 파킨슨병은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도파민 신경세포 내에 축척하면서 발병한다. 떨림, 행동 둔화, 자세 불안정 등 신체 증상을 주로 보인다. 루이소체 치매는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뇌 전체에 쌓이며 루이소체가 생겨 발생한다. 파킨슨병 신체 증상과 더불어 인지기능 저하, 환시, 수면 행동장애가 나타난다. 두 질병 모두 증상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보행 등 운동 재활은 물론 물리치료, 작업치료, 인지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연구팀은 재활치료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실제로 운동과 인지기능 향상을 야기하는지 독성 알파시누클레인이 축적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한 파킨슨병과 루이소체 치매 마우스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이러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재활 요소가 풍부한 환경(environmental enrichment)에서 2개월 동안 재활치료를 진행했다. 재활치료 환경은 기존 실험 동물을 사육하는 환경과 다르게 장난감, 터널, 수레바퀴 등을 설치한 대형 사육장에 자발적인 신체 운동, 감각∙인지 자극을 제공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재활치료 결과,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릴린(Reelin) 단백질과 LAMP1 (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1) 리소좀 단백질이 독성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을 감소시켰다. 연구팀은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마우스의 재활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해 치료 효과 차이를 살피기도 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