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학기 지역사회간호학2 보건의료정책 분석보고서

목차

Ⅰ. 서론
1. 국가 비만 관리 종합대책(2018~2022)의 핵심 내용

Ⅱ. 본론
1. 보건정책 내용과 지역사회 간호사 실무 수행업무
2. 정책과의 관련성 분석과 의견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가 비만 관리 종합대책(2018~2022)의 핵심 내용
–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강화 및 건강한 식품 소비 유도
– 신체활동 활성화 및 건강 친화적 환경 조성
– 고도비만자 적극 치료 및 비만 관리 지원 강화
– 대국민 인식개선 및 과학적 기반 구축

2020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에 따르면 성인 유병률이 2005년 30%를 초과한 이후 지속적 증가하여 2018년 34.6%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건강검사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은 25.0%로 지속적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만 관련 전반적 건강행태에서 에너지 섭취 과잉, 신체활동 부족 등 전반적 건강행태가 악화 추세를 보인다.
– 만 19세 이상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지속적 감소 추이 (18년 남자 51.0%, 여자 44.0%)
– 걷기 실천율은 2005년 60.7%인데 반해, 2018년 40.2%인 것으로 나타남
– 외식증가, 아침 식사 결식률 증가, 채소・과일류 섭취량 감소 등 식습관 악화
– 아동・청소년에서 패스트 푸드 섭취율 증가, 과일·채소· 섭취율 감소 등 부적절한 식습관 증가 및 고학년으로 갈수록 신체활동 기회 부족

국가 비만 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비만의 사회경제적 손실 규모도 지속적 증가하고 있다.
–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15년 기준 9.2조 원으로 최근 10년간 2배(06년 4.8조 → 15년 9.2조) 증가하였고, 고령화 등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