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
2.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3. 병원에서의 간호사 역할확대 방안연구 – 병원행정직 간호사를 중심으로
4.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인식태도 불안이 치매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
5.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업무수행,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본문내용
제목
#1.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박현경
발행처
동국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년도
2021
일련번호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 관련 특성,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 관련 특성,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 관련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 인정보 보호인식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 관련특성,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이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경기도와 강원도 소재하는 3개 대학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다.
연구도구
1) SNS 중독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2)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3)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4) 간호대학생의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5) 일반적 특성과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관련 교육특성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조사되었다.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 교육 관련특성,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간호전문직관, 환자개인정보 보호인식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