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의의 및 특성
2. 추진체계
Ⅱ. 본 론
1. 금연사업
2. 절주(지역사회 음주폐해 예방관리)
3. 신체활동사업
4. 영양사업
5. 비만사업
6. 구강보건사업
7.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사업
8. 한의약건강증진사업
9. 아토피,천식예방관리사업
10. 여성어린이특화사업(모자보건사업)
11. 치매관리사업
1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13. 방문건강관리사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금연사업
☞ 목적은 흡연을 예방하고 흡연자의 금연을 촉진하며,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간접흡연 없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건강증진 및 건강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 유형에는 흡연예방, 흡연자 금연촉진, 간접흡연 없는 환경조성등으로 나뉘어진다
☞ 추진방향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국민건강증진법 및 지자체 조례에 따라 확대된 금연구역 제도를 지역사회 단위에서 정착시키고 관련교육, 홍보를 강화함으로써 지역사회내 간접 흡연을 방지하고 금연환경을 조성하며 지역사회내 공공기관,직장, 중고등,대학교등 교육기관,민간단체와 협력, 연계하여 지역사회에 필요한 금연교육, 상담, 홍보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다
☞ 여수시 보건소 사업내용
● 여수시 보건소에서는 이동금연클리닉운영, 금연 및 흡연예방교육, 금연판넬대여, 금연구역지도 점검,지도등의 사업유형들이 있다.
● 22년 여수시에서는 현재비흡연자의 직장실내 간접흡연의 노출률이 9.6%, 현재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 37.7%, 남자현재 흡연율은 33.6%이며 현재 전체 흡연률은 17.7%로 전년도에 비해 작게는 3~4%,크게는 5~7% 정도로 감소한 수치를 보인다
☞ 진천군보건소
● 진천군보건소에서는 “뛰뛰빵방 찾아가는 이동금연클릭” 프로그램으로 4조3교대로 일하는 직장인 등록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시 상담이 불가능한 점을 해결하기위해 등록자를 2팀으로 나눠 상담을 진행하였다. 기존7회 대면상담을 14회 사업장 방문상담으로 운영해 등록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밴드개설을 통한 챌린지를 수행하는등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사업장 보건관리자의 적극적인 개입을 유도해 금연 6개월 성공률이 2021년 39.5%에서 2022년 55.6%로 향상되는 성과를 얻었다.
2. 절주(지역사회 음주폐해 예방관리)
☞ 목적은 건전한 음주 문화를 조성하고 위험음주의 조기발견 및 개입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음주 폐해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 유형에는 교육 및 홍보, 조기선별 및 상담으로 나뉘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