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5)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6) 의학적 치료 및 경과(내과적 치료-약물 요법/지지요법-수혈요법)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4개
2) 간호과정 적용 2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골수이형성증후군(MDS)
: 골수의 증식과 구성 세포들의 이형성, 비효율적인 조혈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조혈모세포로부터 유래된 혈액 질환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명확한 원인 없이 발병한 일차성 골수이형성증후군과 다른 질병에 대한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 후에 발병하는 이차성 골수이형성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다.
-말초혈액과 골수 속의 미성숙한 세포인 아세포(blast)의 비율, 세포들의 이상형성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2) 원인 및 관련요인
골수 이형성 증후군의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골수 내 돌연변이가 축적되는데, 골수형성 이상증후군과 관련된 특정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 진단으로 진행한다고 추정된다.
*원인 및 관련요인
1)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사용한 이전치료
2)살충제, 담배연기, 벤젠과 같은 특정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3)수은 또는 납과 같은 중금속 물질 노출
4)줄기세포 또는 골수 이식을 받은 경우
5)대부분의 MDS사례는 50세 이상에서 발생
3) 병태생리
골수 이형성 증후군은 여러 단계의 병리기전을 거쳐 발생하게 되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화학물질, 방사선, 세포독성약물 혹은 유전자변이 등에 의해 조혈모세포에 유전적 이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이상들이 축적되면서 세포주기조절, 종양억제유전인자의 전사 등에 영향을 줌으로써 골수형성 이상증후군 클론의 팽창을 가져온다.
초기에는 골수의 세포충실도가 증가하나 말초혈액의 혈구세포는 감소하는 무효조절이 나타나는데, 이는 골수 내 조혈모세포 기원세포 및 분화된 세포의 고사에 의한 것이다.
진행기에 백혈병으로의 이행은 종양억제 유전자, 종양촉진유전자의 변이 혹은 이러한 유전자들의 과 메틸화 등에 의해 발생하며 이때에는 세포고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미성숙 세포의 증식이 나타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