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enicillin
2) cephalosporin
3) carbapenem
4) glycopeptide
5) quinolone
6) aminogloycopeptide
7) 항생제 별 내성균 ( + 치료방법, 구분방법까지)
본문내용
ANTI
– 세포벽 합성 억제
(1) b-lactam :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2) glycopeptide : vancomycin, teicoplanin
→ 그람음성균은 세포벽 밑에 베타락탐계열과 글리코펩타이드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외벽이 있어 effect (-)
→ 그람양성균에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항생제
b-lactam 항생제 (penicillins, cephalosporin, carbapenem)
: anaphylaxis 위험
→ epi 0.3~0.5mg 허벅지 앞부분 IM
① NS 0.7cc 먼저 재고 (needle에 dead space 줄이기 위함)
② 이후 epinephrine 0.3cc 재서
③ total 1cc IM
1. penicillins [베타락탐 계열/신배설]
– betalactamase 생성 예방을 위해 betalactamase inhibitor(베타락탐 분해효소 억제제)와 배합
penicillin
amoxicillin
아목시실린
sultamox
썰타목스
– dextrose mix 금지
amocra
아모크라
ampicillin
암피실린
penbrex
펜브렉스
– 경구 피임약 효과 저하
bactacin
박타신
ubacsin
유박신
lukasyin
루카신
oxacillin
옥사실린
– 유통중인 제품은 없지만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사용됨
benzathine
penicillin G
benzetacil
mycin
– 매독치료에 사용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