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특수교육의 영역에서 교수적 수정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 교육방법, 학습 자료 등을 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정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참여, 그리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간주된다. 본 글에서는 교수적 수정의 절차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교수적 수정의 절차이다. 교수적 수정의 첫 걸음은 학생의 학습 특성, 필요, 그리고 장애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표준화된 테스트, 교육자의 관찰, 그리고 학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학생의 현재 능력과 필요를 파악한다. 학생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개별화된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이 목표는 구체적, 측정 가능하며, 달성 가능해야 한다. 설정된 학습 목표에 따라 적합한 교육 방법과 자료를 선택한다. 이는 교육자의 전문 지식과 경험, 그리고 학생의 특성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된 교육 방법과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교육자는 학생의 반응과 학습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교육이 종료된 후, 교육자는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교육 방법과 자료의 적합성, 그리고 학습 목표의 달성도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교수적 수정에 대한 비판이다. 교수적 수정은 특수교육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간주되지만, 그 실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비판적인 지적이 있다. 교수적 수정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지만, 과도한 개별화는 학생들 사이의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학급 내에서의 학생 간 상호작용과 협력 학습의 기회를 줄일 수 있다. 적합한 교육 자료와 도구는 항상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자는 제한된 자원 내에서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하며, 이는 교수적 수정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 교수적 수정은 교육자에게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교육자의 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교육의 질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