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인장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순서 및 방법
3. 실험장치 및 구성
4. 실험내용
5. 실험 결과
6. 결론 및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목적
본 실험에서는 인장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인장 실험에 사용되는 시험기의 사용 방법을 습득하고, 재료의 강도 해석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역학적 파라미터의 측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재료에 가해지는 하중과 측정된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결정하는 탄성계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 등과 같은 물성치를 이해한다. Steel과 AL의 평균물성치를 측정하고 Steel과 AL의 물성치 및 그래프가 어떻게 다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2. 실험순서 및 방법
① 시편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② 인장시험기를 작동시킨 후 시편을 물리지 않은 상태로 영점을 맞춘다.
③ 실험 조건을 입력한다.
④ 시편을 물리고 하중을 가한다.
⑤ 시편이 파단되면 시험기로부터 시편을 제거하고 파단 시편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⑥ 인장시험기를 초기의 위치로 복구하고 다음 시편을 물린다.
⑦ Steel 시편 3개, AL 시편 3개에 대해 ①~⑥의 과정을 반복한다.

3. 실험장치 및 구성
(1) 인장시험기: 시편을 물려 파단까지 하중을 가해 인장하고 인장강도 및 파단강도를 측정한다.
(2) 버니어 캘리퍼스: 시편의 인장 전후의 width, thickness, 표점거리를 측정한다.
(3) 시편: 탄성계수, 항복점, 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과 같은 물성치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이다.
(4) PC
(5) 네임펜
(6) 자

4. 실험내용
■ Stress-strain diagram
① 비례한계(proportional limit, A): 이 초기 영역에서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는 비례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점 A를 넘어서면,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례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A에서의 응력은 비례한계라고 불린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