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질소 측정 (TN) / 환경분석실험 / 환경공학과 / A+

목차

1. object & theory
2. Experimental Process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4. Discussion
5. Pre report: 염화수소 측정
6. Reference

본문내용

○ Object
폐수 중에 존재하는 부영양화 현상의 원인 물질인 유기성 질소와 무기성 질소의 총량을 측정한다.

○ Theory
총질소 :
총질소는 무기성 질소와 유기성 질소의 총량을 의미한다. 수중에 존재하는 질소의 총량은 수중의 생산력을 좌우하여,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이다. 부영양화 현상의 예측과 제어는 수중에 존재하는 질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물속에 존재하는 질소화합물은 유기질소와 무기질소 형태로 존재하며 부영양화(효소 및 하천 내 조류의 이상증식으로 인한 현상)의 원인물질이 된다. 유기성 질소는 아미노산,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등 생물학적 생산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로, 분뇨, 공장폐수 등의 유입으로 증가한다. 무기성 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를 의미한다.

질소 증가→수중 생산력 증가→영양염류 증가→조류증가→조류 사후 분배→용존산소 결핍

총질소 실험 원리 :
물속에서 질소가스의 농도는 대기에서 질소가스의 평형에 따라 보통 15~20mg/L로 매우 높다. 하지만 질소 가스는 반응성이 없으므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보다 4가지 형태 각각의 질소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므로 각각의 질소 형태에 대한 분석 방법 또한 중요하다. 총질소는 각각의 질소화합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으나 “Standard Methods”에서는 총질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이 수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양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데 유용할 것이며, 세 가지 형태의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 때 나머지 한 가지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질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킬달분해 과정을 거쳐야 하나 총질소 농도와 세 가지 형태의 무기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면 킬달분해 없이 유기질소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