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성 질소 측정 (NH3-N) / 환경분석실험 / 환경공학과 / A+

목차

1) object
2) theory
A. 질소, 암모니아성질소
B. 유기물의 질산화 과정
C. 흡광도와 투광도
D. 암모니아 정량법
E. 분광광도계

2. Experimental Process
1) 기구와시약
2) 실험과정
A. 20% 수산화나트륨 (NaOH) 조제
B. 암모니아성 표준원액 (0.1mg NH3-N/mL) 조제
C. 암모니아성 표준용액(0.005mg NH3-N/mL) 조제
D. 미지시료 1,2 조제
E.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조제
F. 나트륨페놀라이트 조제
G. 니트로프루시드나트륨(Na2[Fe(CN)5(NO)]‧2H2O) 조제
H. 시료의 전처리
I. 흡광도 측정 및 암모니아성 질소 양 계산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1) rawdata
2) 결과계산-x축산출, 검량선, 이론값, 실험값
3) 오차계산

4. Discussion
1) 정리
2) 오차분석

5. Pre report: 총질소 농도 측정 (TN)
1) theory

6. Reference

본문내용

총질소 :
총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 유기질소를 모두 합한 것으로 질소 가스와 같은 기체 상태의 질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질소의 총량을 말하며,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물속에서 질소가스의 농도는 대기에서 질소가스의 평형에 따라 보통 15~20mg/L로 매우 높다. 하지만 질소 가스는 반응성이 없으므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보다 4가지 형태 각각의 질소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므로 각각의 질소 형태에 대한 분석 방법 또한 중요하다. 총질소는 각각의 질소화합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으나 “Standard Methods”에서는 총 질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이 수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물속에 존재하는 총질소의 양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데 유용할 것이며, 세 가지 형태의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 때 나머지 한 가지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질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킬달분해 과정을 거쳐야 하나 총질소 농도와 세 가지 형태의 무기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알면 킬달분해 없이 유기질소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유기질소의 농도는 총질소에서 세 가지 형태의 질소화합물의 농도를 빼면 된다.
“Standard Methods”에서 총질소를 측정하는 방법은 암모니아, 아질산, 유기질소를 질산이온으로 산화한 후 산화된 질산이온을 카드뮴 환원법에 의해 아질산 이온으로 환원한 후 다이아조화법에 따라 측정하는 방법이다. 환원된 질소화합물을 질산 이온으로 산화시키기 위해서 과황산(S2O32-)가 포함된 알칼리성 분해용액을 시료에 혼합한 후 100~110℃로 가열한다. 이때 유기질소는 암모니아로 전환되어 방출되고 환원성 질소 화합물은 황화 과황산(VII)이 황화 황산(VI)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질산 이온으로 산화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