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object & theory
1) object
2) theory
A. 산화환원적정
B. DO, DO 값에 따른 수질환경기준 (출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
C. 수질오염 공정 시험 기준 중 용존산소(DO) 측정법
D.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Na2S2O3·5H2O
2. Experimental Process
1) 기구와시약
2) 실험과정
A. 황산망간(MnSO4) 표준액 조제
B. 적정
C. 실험 해설
3. Observation & Result (Include Appendix)
1) rawdata
2) 결과계산
4. Discussion
1) 정리
2) 오차분석
5. Pre report: 화학적산소요구량-과망간산칼륨법(COD, Chemical Oxygen Demanded)
1) theory
6. Reference
본문내용
1. 불완전한 침전물의 용해
황산 2mL를 넣고 시료의 갈색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병을 회전시켜야 했다. 처음 2mL로는 시간이 지나도 갈색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하지 않아 한 번 더 2mL를 첨가해 병을 회전시켰다. 조원들이 완전히 용해되었다고 판단하고 회전을 멈춘 시점에 시료에는 부유물이 있었는데, 부유물과 갈색 침전물을 구분하는 것이 힘들었다. 침전물임에도 불구하고 부유물로 착각해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음에도 실험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2. 정확한 색 변화 관찰의 어려움
시료는 투명한 갈색에서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을 하니 옅은 노란색이 되었다. 이후 시료에 전분용액을 넣으니 청색이 되었고 다시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시료가 무색이 될 때까지 적정했다. (사진첨부) 옅은 노란색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첫 적정을 언제 멈춰야할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후 두 번째 적정에서 무색이 되는 순간에 바로 적정을 멈추는 것이 어려워 미세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