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2. 내분비계 사정 : 건강력, 신체검사,
3. 진단검사
1) 혈청 및 소변 검사
2) 영상검사
본문내용
①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1. 선: 내분비선에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 난소, 고환 및 송과선이 포함된다. 이들 선은 호르몬이라는 특정 화학전달물질을 만들고 분비한다. 내분비계의 다섯 가지 일반적 기능은 태아기의 생식기계와 중추신경계의 발달, 아동 청소년기의 성장발닥 자극, 생식, 항상성 유지와 응급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2. 호르몬: 호르몬은 체내에서 생산되어 특정한 표적세포나 기관의 활동을 조절하는 화학물질이다. 많은 호르몬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생성되며 신체 내 특정 세포나 기관의 활동을 조절한다. 갑상선은 티록신이라는 호르몬을 합성하는데, 이것은 혈류로 분비되어 모든 신체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어떤 호르몬은 주위세포에 국소적으로 작용하고 혈류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국소작용은 측분비작용으로도 불리며 이에 대한 예시로는 난소에서의 성 스테로이드의 작용이 있다.
대부분의 호르몬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미량이지만 가변적이고 예측가능한 속도로 분비되고, 회환체계에 의해 조절이 되며, 특정 표적세포 수용체와 결합한다. 내분비계와 신경계는 강한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카테콜라민은 부신에서 분비되어 혈류로 들어가 다양한 표적기관에 작용한다. 카테콜라민이 뇌나 말초신경계의 신경세포에 의해 분비될 때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신경연접 부위에서 중요한 자극을 전달한다.
기관은 호르몬을 분비함으로써 내분비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은 적혈구생성인자를 분비하고, 심장은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를 분비하며, 위장관계는 수많은 펩티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1) 호르몬 수용체: 호르몬은 표적조직을 인식하여 ‘자물쇠와 열쇠(lock and key)’기전으로 수용체에 부착하여 작용한다. 그러므로 특정 호르몬은 그 호르몬의 특정 수용체를 가진 세포에서만 작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