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및 비뇨기계 정리

목차

1. 신장 및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2. 신장 및 비뇨기계 사정: 건강력, 신체검사

3. 진단검사
(1) 소변분석검사
(2) 소변
(3) 혈액화학검사
(4) 내시경검사
(5) 방사선검사
(6) 요역동성 검사

본문내용

① 신장 및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는 두 개의 신장, 두 개의 요관, 하나의 방광, 하나의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에서 소변을 생성하면 방광은 소변을 모으는 창고 역할을 하고, 요관과 요도는 소변을 흘러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1. 신장: 신장의 일차적 기능은 ⓵세포외액의 양과 구성성분을 조절하며, ⓶신체로부터 노폐물을 배설하는 일이다. 이외의 신장기능은 혈압조절, 적혈구생성인자(erythropoietin)의 생성, vit D의 활성화 및 산-염기 균형을 위한 조절작용 등이다.
(1) 거시적 구조: 신장은 제 12흉추와 제 3요추 수준에서 척추의 후복막 공간(복막 뒤)의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으며 강낭콩 모양을 하고 있다. 신장 하나의 무게는 115~117g이며 길이는 약 12cm이다. 우측 신장은 제 12늑골 위치에 있으며 좌측 신장보다 아래에 있다. 부신은 각 신장의 상부에 있다.
신장은 상당량의 지방층과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조직은 신장을 지지하며 위치를 유지시킨다. 신장의 표면은 피막이라는 얇고 매끄러운 섬유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신장을 보호하여 복부나 후면에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한 흡수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신장의 안쪽에 위치한 신문은 신동맥과 신경이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며, 동시에 신정맥과 요관이 나가는 출구 역할을 한다. 신장의 실질조직은 신장의 종단면에서 볼 수 있다. 신장의 외부층은 피질, 내부층은 수질이라고 한다. 수질은 많은 수의 추체로 구성되어 있다. 추체의 첨부를 유두라고 하며, 유두를 통해 소변이 신배로 들어간다. 소신배는 넓어지고 합쳐져서 대신배를 형성하고, 대신배는 깔대기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데, 이를 신우라고 한다. 소신배와 대신배는 소변을 신우로 이동시키며 소변은 이곳에서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가게 된다. 신우는 소량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