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임상사례연구_조현병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8)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9) 의학적 진단명
10) 의사의 치료계획

2. 정신간호과정
1)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2) 대인관계기술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3)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3. 총평가

본문내용

2. 정신간호과정
1)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들립니다 소리… 아까도..어제도..”
“하루에 8번..”
“때리라고 했어요”
.객관적 자료
활동중에 갑자기 멈춰서서 환청에 집중하는 듯한 모습 보임.
멀리 서있는 사람을 한참동안 서서 노려보고 있음.
소리 내용에 대해 물으면 denial함.
15‘9/24 때리라는 소리가 들렸다며 타환자 폭행함.

간호진단-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 한달 내에 폭력적인 환청에 대해 표현한다.
장기목표 : 입원기간 동안 타인에게 폭력을 일으키지 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불편한 자극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불안이 지속되고 불안은 타인을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할 수 있다.
간호수행
– 자극이 적은 환경을 제공한다.
– 낮은소음, 과격한 환자와 분리

간호계획-환청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환각에 대한 사정으로 환각에 대해 반응하는 환자에게 조기에 중재가 가능하고 지시에 의한 공격적인 반응을 예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