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이론에 따른 학자들의 청소년의 정의(청소년지도방법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기의 정의
2. 청소년기 발달 특성
3.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4.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5.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청소년기의 정의
청소년이란 용어는 라틴어의 ‘성장한다’또는 ‘성숙에 이른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이 시기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성장이 급속하게 진행된다는 전환기적 의미를 암시하고 있다.

① 생리학적 정의
청소년기는 생식기관과 성 특징들이 나타나는 사춘기에 시작하여 생식 체계의 완전한 성숙과 함께 끝난다.

② 인지적 정의
추상적 사고와 논리적 추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상위인지 능력을 갖기 시작할 때 청소년기가 시작되고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을 때 끝난다. 즉 형식적 조작 사고의 출현과 완전한 획득이 그 기준이 된다.

<중 략>

5.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청소년기의 인지발달은 다른 영역의 발달에 영향을 준다. 인지발달은 사회적 행동에도 영향을 주는데, 사회적 행동이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표면적 특성이라면, 사회인지는 대인관계나 사회적 조직 내에서 사회적 행동을 결정하는 내재적 과정이다. 청소년기 사회인지 능력의 발달은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정체감, 자율성, 친밀성, 성취 등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고등학교 수준의 학습은 청소년의 인지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형성되는 또래집단에 참여함으로써 청소년기의 형식적 조작사고 발달이 촉진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