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정렬
2. 버블정렬
3. 삽입정렬
4. 쉘정렬
5. 합병정렬
6. 퀵정렬
7. 히프정렬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선택정렬의 장점
선택정렬의 경우에는 정렬을 위한 비교 횟수는 많지만 교환 횟수가 적다. 이에 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선택 정렬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만약 이 경우에는 자료를 역순으로 정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만약 자료가 내림차순으로 정렬이 되어 있다면, 이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다시금 정리할 때 선택정렬이 적합하다. 즉, 정렬을 위한 교환 횟수가 적기에 내림차순된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만들 때 효율이 좋다.
1.2 선택정렬의 단점
선택 정렬의 가장 큰 단점은, 정렬을 위한 비교 횟수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 정렬된 상태일 때 일부 자료(극히 소수의 자료더라도)가 추가될 경우에는 재정렬의 과정이 필요하고, 그럴 때 처리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즉, 정렬 비교횟수가 많으며, 소수의 자료라도 추가된다면 최악의 처리 속도를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