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험관리의 정의
2. 위험의 범주
3. 위험의 종류
4. 위험관리 절차
5. 위험 분석 및 평가
6. 위험관리에 관한 본인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프트웨어서의 위험관리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돌발적인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대응책을 수집하는 활동을 이야기한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정이나 원가 그리고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위협 요소에 대해서 사전에 식별한 뒤에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위험이라는 것은 불확실성(발생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과 손실(위험이 발생한다면 원치않은 손실과 결과를 초래한다)을 내재하고 있다. 이에 위험 관리의 작업은 확실하지 않은 위험의 요소를 감소함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위해 대비하는 작업을 이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위험관리의 목적은 프로젝트의 정상적인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에 있고, 이를 통해 위험 요소를 제거하거나 관리함으로 인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에 있다. 또한 위험관리란 프로젝트 통제의 상위적인 개념으로 우선순위가 높다. 결과적으로 위험관리란 위험을 식별해낸 뒤에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고, 그에 대한 영향을 산출한 뒤에 해당하는 위험 요소에 대해 대비하는 비상 계획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