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사전(辭(事)典)의 정의와 내용
Ⅱ. 본론
1. 기준에 따른 사전의 종류
1-1. 배열의 기준에 따라 분류
1-2. 색인(索引) 및 설명어에 따라 분류
1-3. 수록된 언어의 성격에 따라 분류
2. 표제어 ‘감기, 카페, 건축’과 관련된 어휘정보
2-1. 표제어. 감기(感氣)
2-2. 표제어. 카페(café)
2-3. 표제어. 건축(建築)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 사전(辭(事)典)의 정의와 내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정의에 따르면, 사전(辭典)은 ‘단어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것에 대하여 해설한 책’을 의미하며 사전(事典)은 사상(事象)의 체계적 분석·기술에 의한 지식 및 정보를 제공하는 책을 뜻한다. 보통 언어학에서 사전(辭典)은 단어의 의미·품사·용법·어원·표기법 등을 해설한 책을 의미하지만 사전(事典)과 구별이 엄밀히 그어지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사전을 선택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기준에 다른 사전의 종류를 알아보고 표제어휘 3가지를 선택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전에서 언어정보를 찾아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기준에 따른 사전의 종류
1-1. 배열의 기준에 따라 분류
①문자(로마자, 한자, 한글 등)를 기준으로 발음이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한 것, ②발음을 기준으로 문자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한 것, ③의미에 따라 분류하고 그로부터 문자나 발 음을 알 수 있도록 한 것.
1-2. 색인(索引) 및 설명어에 따라 분류
①같은 언어로 된 것(국어사전등), ②서로 다른 언어로 된 것(대역사전 즉, 영한사전, 일한 사전, 한영사전 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