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맞은 아동간호학 중이염 케이스-문헌고찰 포함(간호진단11개, 간호과정3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위험요인
5) 발생빈도
6) 증상
7) 진단
8) 치료 및 간호
9) 합병증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1. 환자 입원 정보
2. 관찰내용(신체관찰 정보, I/O, 치료방법)
3. 진단검사(abnormal 중심)
4. 투약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환자의 상태 및 문제
2.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박OO 대상자는 9개월 여성으로, 감기와 기관지염을 앓은 후 회복되다가 또다시 발열, 콧물, 기침이 심해지고 중이염 진단을 받은 후 병동에 입원하였다. 병력으로는 23년 1월에 폐렴에 걸린 적이 있다. 현재 병동에서 약물을 투약하면서 질병을 치료 중에 있으며, 급성 통증과 관련된 반응은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체온은 정상범위내에 있으며, 대상자의 보호자는 “입원한 후로 기저귀를 벗겨놓을 수가 없어서 계속 차고 있다 보니 항문 근처에 발진이 생겼어요”라고 말했다. 박OO 대상자는 대상자가 아직도 가래 섞인 기침을 간간히 하고 콧물이 노랗고 끈적이게 나온다고 호소하였다.

비효과적 기도청결은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며, 중이염의 증상 중 하나로 콧물과 객담이 지속적으로 분비되어 대상자가 숨을 쉬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기에 1순위로 선정하였다.

수면 양상 장애는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며, 대상자가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함으로써 보호자 또한 신경을 많이 쓰게 되고, 밤에 기침으로 인해 잠을 자는 도중 잠에서 깸으로써 걱정을 하고 계셨다. 또한 기침이 오래 지속되다 보면 수면 박탈 또한 같이 지속되어 삶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 생각하여 2순위로 선정하였다.

피부통합성 장애는 Maslow의 인간욕구단계 중 안전과 안정에 대한 욕구에 해당하며 대상자의 보호자가 걱정하고 치료되었으면 하는 문제로 삼고 있었으며, 미래에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3순위로 선정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