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단한 역사적 맥락
2. 장애에 대한 기술
1) 진단기준
2) 증후학
3) 사회적 / 직업적 역기능
4) 질병의 경과
3. 감별진단
1) 의학적 상태
2) 약물중독
3) 조현정동장애
4) 정동 정신병
5) 자폐스펙트럼장애
6) 진짜 정신병 증상과 다른 현상들의 구별
4. 동반이환
1) 우울증
2) 불안 및 관련장애
3) 약물사용장애
4) 지적결함
5) 자살 경향성
5. 역학
6. 신경발달과 병인
1) 유전적 요인
2) 신경해부학적 이상과 뇌영상
3) 환경요인
4) 심리사회적 요인
Ⅲ. 결론
본문내용
1. 간단한 역사적 맥락
조현병은 인지, 지각 및 사회적 관계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정신과적 장애로서 ‘조기발병 조현병(earlyonset schizophrenia, EOS)’은 18세 이전에 발병하는 조현병을 말한다. 이 장애가 13세 이전에 발병할 때에는 ‘아동기 발병 조현병(childhoodonset
schizophrenia, COS)’이라 한다.
20세기 초반, Emil Kraepelin(1909)은 조울성 질환(manicdepressive illness)과 조발성 치매(dementia praecox)라는 두 가지 형태의 정신이상을 기술하였다.
Bleuler(1911)는 조발성치매가 치매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상적 사고과정 상실과 사고, 정서 및 행동의 붕괴와 관련이 있다는 관찰에 입각하여 조현병으로 새로 정의하였다.
Schneider(1959)는 조현병에만 환청, 사고전파, 통제망상, 망상적 지각과 같은 ‘일급증상’이 나타난다고 제안하면서 이런 증상들이 다른 증후군(예: 정신병적 조증)에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이들 증상은 조현병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Kolvin(1971)과 Potter(1972)가 수행한 다양한 아동기 정신병, 그리고 아동과 성인이 보이는 조현병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고, 이 연구에 기초하여 DSMⅢ에서는 아동과 성인의 조현병 진단에 동일한 기준을 요구하였다. 후속연구는 EOS가 증상, 질병의 진행과정, 결과, 그리고 몇몇 공통되는 신경생물학적 특징으로 보아 성인기 발병 조현병과 연속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2. 장애에 대한 기술
1) 진단기준
아동과 청소년의 조현병은 성인과 동일한 기준으로 진단을 내린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에는 대인관계나 학업에서 연령에 적합한 발달수준을 성취하지 못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조현정동장애(표 12.2)와 정신병적 기분장애는 다음과 같이 배제된다. 즉, 기분 에피소드들이 함께 나타나지 않거나, 그런 에피소드들이 나타날 경우에는 활성기 증상들의 전체 지속시간 중 아주 짧은 기간만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