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Psychiatric Nursing Care Study
1. 간호사정 (Assessment)
2. 자료 분석을 통한 현재 주된 간호문제 (Present Nursing Problem)를 포함한 간호진단-3가지 이상
3. 간호과정(SOAP 단계) 기록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⑴ 정의
우울은 한 개인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자신과 주위 환경을 지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주관적, 지속적인 감정이다. 슬픔이나 짧은 기간 동안 우울은 상실 또는 실망감을 겪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겠지만 객관적인 현실과는 다르게 기분이 가라앉고 감정표현이 없으며, 무디고 슬픈 감정을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우는 심한 우울로서, 치료적 중재가 필요한 상태이다.
우울장애는 오랫동안 과소평가되어 왔으나 대상자가 심한 고통을 경험하고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현대의 주요 건강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우울장애는 희망 상실, 대인관계 결여, 생산성 상실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자살 등 많은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행히 우울증은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를 통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80% 이상이 호전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⑵ 원인
⒈ 신경생물학적 소인
⒜ 유전적인 원인
– 부모 중 한명이 우울증일 경우 자녀가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은 10~13%이다.
– 쌍생아 연구에서 일란성인 경우, 이란성 쌍생아보다 2~4배의 높은 발생률 ▲
⒝ 생화학적인 원인
⒈ Serotonine 저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로토닌 저하 (우울증과 가장 관련이 깊음.)
⒉ 노르에피네프린
–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축의 활성도 증가로 코티졸 분비 증가
– 우울증 환자의 경우, 노르에피네프린 대사물(MHPG)이 뇌척수액과 소변에서 감소
– 우울증 환자에게 도파민 활성도가 낮음.
– 갑상선 호르몬의 저하 (우울증의 1/3 차지)
⒊호르몬
– 부신피질호르몬
심한 우울증 환자, 심한 불안, 자살 충동이 많고 정신병적 상태에 있을 때 Cortisol의 분비가 증가됨,
– 성장호르몬
수면에 의한, 저혈당에 대한 성장호르몬 반응이 낮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