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관리실태 및 알코올중독 치료약물 및 부작용

목차

0. 수원시 인구
1. 2019년 12월 기준치 전국 통계 실태
2. 수원시성인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방침
3. 센터 등록자
4. 질병별 분포
5. 센터 사업 예산
6. 수원시 중독관리 통합센터
7. 수원시 정신건강사업 분류
8. 알코올중독 치료약물 및 부작용

본문내용

알코올중독 치료약물 및 부작용

약물치료
1) 급성기 약물치료
알코올의존으로 입원한 환자의 경우 금주 후 6시간 경부터 금단 증상을 느끼기 시작한다.
금단 증상은 심계항진(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호흡이 가빠진다), 발한(식은 땀), 진전(손떨림)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 불안, 불면, 간질발작, 진전섬망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약 일주일간 지속된다.
이러한 환자들은 금단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물을 투여하고 필수영양소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비타민 제제 등을 투여한다. 또한, 장기간의 음주로 인해 신체의 다양한 장기들(간장, 위장, 췌장, 뇌 등)이 심한 손상을 받은 상태이므로 동반 신체질환의 치료에도 역점을 두게 된다.

① Benzodiazepine
불안과 수면 장애의 치료 시 자주 처방되는 약물이다.
알코올의존 환자에서는 금단 증상의 치료를 위해 클로다이제폭사이드(chlordiazepoxide)와 로라제팜(lorazepam)이 주로 처방된다. 장기간 복용 시에는 내성을 가질 수 있어 증상이 호전되면 약물을 감량 혹은 중단하거나 내성이 생기지 않는 다른 약물로의 대체가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