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온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유효온도의 원리
1.2 수정유효온도의 원리
1.3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유효온도의 원리
실내의 쾌적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온도, 기류, 습도가 있다. 1923년에 F. C. Houghton과 C. P. Yaglou는 냉방과 난방환경 등 인공적인 환경의 평가를 위해서 온도와 기류, 습도 및 복사열 중에서 여러 가지의 조합을 통해 사 람들이 느끼는 온도를 지표를 표시하였는데, 이를 쾌적지표 또는 쾌적척도라고 한다. 유효온도는 마찬가지로 온도, 기류, 습도를 조합한 감각지표로 효과온도 또 는 체감온도라고 한다. 유효온도는 습도 100%에서 기류가 없는 환경일 때의 온 도와 같은 온도로 느껴지는 것이다. 유효온도의 단점은 복사열이 고려되지 않았 고 낮은 온도에서 습도의 영향이 과장되었다는 것이다.

1.2 수정유효온도의 원리
1934년에 T. Bedford와 C. G. Warner에 의해 수정유효온도가 나오게 되었다. 유효온도는 복사열이 고려되지 않았고 낮은 온도에서 습도의 영향이 과장되었다 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정유효온도는 복사열에 대한 영향을 보완하였고 측 정 시에 건구온도 대신에 흑구온도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여러 차례의 실험을 통 하여 유효온도를 구하는 도표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수정유효온도 노모그램이라 고 한다. 유효온도를 구하려면,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관측 된 기류와의 교점을 찾으면 된다. 상당습구온도는 습공기선도에서 건구온도와 상 대습도가 만나는 점에서 흑구온도까지 가로로 수평이동한 후 습구온도를 읽으면 상당 습구온도가 구해진다. 그리고 수정유효온도 노모그램에서 흑구온도와 상당 습구온도를 연결하여 기류와 만나는 점을 읽으면 수정유효온도를 구할 수 있다.

1.3 적용예시
유효온도에 관해 꾸준한 실험연구로 인해 1974년 미국 공조냉동 공학회가 신 유효온도 ET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해발 2134m이고 평균복사온도 MRT와 건구 온도가 같으며 풍속이 0.2m/s이하인 실내에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