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발생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결로의 원리
1.2 결로의 종류
1.3 결로 방지의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결로의 원리
겨울철에 실내를 난방을 하면 안쪽 유리창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 는데, 이러한 현상을 결로라고 한다. 습기는 공기 중이나 재료 중에 기체에 존재 하는 수분을 말하는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습공기라고 하고 수증기를 포함 하지 않은 공기를 건조 공기라고 한다. 습공기를 냉각 하게 되면 분자사이의 거 리가 좁아지면서 수분을 머금고 있기 힘든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 상태의 공 기를 포화공기라고 하는데, 더 냉각을 하게 되면 수증기의 일부가 공기 중에 분 포하게 된다. 이때 건구온도(실내온도)와 절대습도가 만나는 점에서 냉각(온도가 낮아짐)되어 상대습도 100%에 도달 하게 되면 이때 온도를 노점온도라고 하고 공기 중의 수증기는 물방울이 되어 물체의 표면에 남게 된다.

1.2 결로의 종류
결로는 겨울철에 난방을 하면서 유리에 물방울 형태로 자주 보여 지는데, 그 이유는 단열재의 시공이 잘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결로는 여름철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고온다습한 공기가 지하실의 창고와 같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곳 에 유입되면 습도가 상승하면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비교적 열용량이 크고 단열성이 높은 건물에서 자주 발생하며 환기를 하게 되면 결로가 오히려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결로는 건축물의 발생 위치에 따라 표면결로와 내 부결로로 구분한다. 표면결로는 벽체의 표면에만 생기며 유리면이나 비투습성의 벽체에서 발생한다. 반면에 내부결로는 투습재료의 고온측에 방습층이 없는 경우 습기가 벽체 내부로 침투하여 노점온도보다 낮은 곳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1.3 결로 방지의 적용예시
결로가 발생하면 가구와 바닥 등이 부패하면서 부식균에 의해 건축자재가 손 상을 입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표면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 기를 억제하고, 환기에 의한 실내 절대습도를 낮추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