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간호사의 근무환경의 문제
2. 본론
2-1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대책
2-2 정책 현황
2-3 정책 문제점
3. 결론
본문내용
현재 우리가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내용에는 ‘태움’, ‘3교대’,‘임신순번제’가 많이 알고 있는 내용이다. 이러한 업무환경은 간호사의 인력 부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리나라 간호사가 임상에서 근무하는 의료인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치 못하고 있다.
2018년 기준 보건복지부가 ‘OECD 보건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OECD 평균인 8.9명으로 나왔으나, 우리나라의 간호 인력 인구는 1000명당 7.2명으로 적었습니다.
‘2020 간호통게연보’에 따르면 면허등록 간호사 414,983명이지만 이 중 현재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의 현황은 215,293명으로 활동비율은 51.9%의 비율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활동 간호사들의 비율이 낮은 것과 관련된 것으로 야간근무, 과중한 업무부담과 함께 이보다 낮은 처우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입원한 환자 2.5명 당 간호사 1명(조별 근무는 환자 12명 당 간호사 1명이 기준)으로 의료법에 기준이 정해져 있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의료기관에 시정 명령을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내리게 된다. 시정하지 않을 경우 업무정지 15일에 처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이런 의료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다.
저는 더 나은 근무환경 개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