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정신병 약물
1) 특성
2) 종류
2. 항우울제
3. 기분안정제
1) 특성
2) 종류
4. 항불안제 및 수면제
5. 인지기능 개선제
1) 작용기전
2) 부작용
6. 정신자극제
1) 작용기전
2) 부작용
본문내용
1) 특성
– 환각, 망상, 기괴한 행동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으 며, 현재는 기존의 증상뿐 아니라 환자의 인지기능이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주로 조현병의 치료제이지만 조증이나 기질적 정신장애 등의 질환에서 나타나 는 다양한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2) 종류
• 정형 항정신병 약물(1세대 항정신병 약물)
① 작용기전과 임상적용
– 도파민 경로에서 비선택적으로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한다. 특히 중뇌-피질 경 로와 중뇌-변연계 경로가 약물의 치료작용을 중재하여 양성증상을 감소시킨 다. 대체로 정신병적 상탱서 나타나는 긴장, 흥분, 초조, 공격적이거나 파괴적 행동, 망상과 환각 등 증상에 효과가 있다.
– 약물치료에서의 증상 완화 등의 효과는 보통 투약 후 2~3일경에 나타나기 시 작하나 2주 이상 걸릴 수 있다.
– 약물 : chlopromazine, perphenazine, haloperidol
② 부작용
– 흑질-선조체 경로에 대한 도파민 수용체 작용: 추체외로 부작용(EPS)
– 결절-누두 경로: 프로락틴 분비 증가로 여성형 유방, 무월경 등의 부작용
– 중뇌-피질 경로: 중피질계 일부 도파민 활성 저하 작용으로 음성증상 악화 및 인지기능 장애 관련 부작용
– 기타 부작용: 항콜린 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항아드레날린 작용 등
•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2세대 항정신병 약물)
① 작용기전과 임상적용
– 대부분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동시 차단하는 효과로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을 막는다. 이로 인해 조현병의 양성증상뿐 아니라 정서적 둔마, 사회적 위축, 무감동과 같은 음성증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