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습구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건구온도의 의미
1.2 습구온도의 의미
1.3 상대습도의 의미
1.4 절대습도의 의미
1.5 노점온도의 의미
1.6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건구온도의 의미
액체 온도계 등의 보통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온도로 습구온도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건구온도는 물체나 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온도계이다. 단위는 섭씨온도(℃)를 사용한다.

1.2 습구온도의 의미
습구라는 말은 가제로 유리 온도계의 감온부를 감싸서 증류수에 적신 것으로 습구온도계의 원리로 이용된다. 감온부를 감싼 후에 대기중에 증발시키게 되면, 기화열을 빼앗기게 되는데, 대기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습구온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습구온도계를 사용하면 공기 중의 수분의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단위는 섭씨온도(℃)를 사용한다.

1.3 상대습도의 의미
주어진 온도에서 완전한 포화상태의 공기가 포함하는 습기의 양과 비교해서 주어진 공기 내의 같은 온도에서의 습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 이다. 단위는 퍼센트(%)를 사용한다. 상대습도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1.4 절대습도의 의미
절대습도는 습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건공기와의 중량비(kg/kg)를 의미하며, 기상관계에서는 단위용적의 습공기에 대하여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와의 중량비(g/m)이다.

1.5 노점온도의 의미
노점이란 일정량의 수증기를 가진 공기가 차츰 냉각되어 포화상태가 되어 수증기가 응축하여 물방울로 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수분이 많을수록 높은 온도이며, 노점온도는 습공기가 어느 일정 압력에서 수분의 증감 없이 냉각되었을 때,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이다. 즉, 습공기선도에서 수증기 분압 압력 온도의 곡선의 100% 부분의 선을 말한다. 습공기 선도에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1.6 적용예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는 단순하게 측정만을 위해서 사용되기 보다는 열의 흐름과 같은 현상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축설비에서는 결로현상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