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유형
3. 적응증
4. 금기증
5. 수술과정
6. 간호중재
Ⅱ. 사례 연구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3. 적응증
아두골반 불균형(CPD): 가장 흔한 원인
태위이상: 황위나 둔위
자궁기능부전(uterine dysfunction): 비정상적 자궁수축, 자궁경부 개대불능, 분만지연 등
과거 제왕절개분만: 자궁파열의 위험증가
과거난산(soft tissue dystocia)으로 연조직 손상: 과거 수술이나 상해로 인해 자궁경부 강직 (cervical rigidity), 질 협착, 생식기 반흔
유도분만의 실패: 자궁경부가 옥시토신에 반응하지 않을 때
생식기의 음부포진 감염: 약 50%의 신생아가 눈, 두개골, 피부, 제대, 상기도 등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후유증이 초래될 수 있다.
임신 합병증: 임신성 고혈압
모체당뇨병
모체합병증: 심장질환, 고혈압, Rh 부적합증, 지능이상, 이전 질식수술 등
태반부전: 지연임신 시 태반의 노화
기타 고위험 산과적 요소: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제대탈출, 태아부전,
이전 태아사망 또는 손상, 분만 중의 감염이 동반된 양막파막증
<중 략>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 료
“진통제 좀 더 주세요”
“배가 너무 아파요”
“배랑 허리가 너무 아파요.”
객관적
자 료
IV PCA 적용
C/sec 후 NRS 척도: 7점
2020년 06월 01일 C/sec 함
뉴페낙(진통제) 투여 중
통증 양상: 둔함
간 호 진 단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 호 목 표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할 것이다.
• 단기목표: 대상자는 4일이내 NRS 3점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