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 손실 실험 (위생설비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개요
1.2 목적 및 의의

2. 본론
2.1 이론
2.1.1 직관 손실수두
2.1.2 무디선도(Moody)
2.1.3 달시-바이스바하 방정식
2.1.4 상대조도
2.2 실험장치
2.3 실험방법 및 측정순서

3. 결론
3.1 실험결과
3.2 고찰 및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개요

파이프 유동해석에서 중요한 것은 압력 강하  P로, 이 값은 팬이나 펌프의 소 요 동력과 직접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기호  는       과 같이 최종값과 초기값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유체 유동에서  P는 축방향의 압력 강하, 즉 P  P 를 의미한다. 점성 영향에 의한 압력 강하는 비가역 압력 손실로 수두 손실 h 처럼 손실임을 강조하기 위해 압력 손실  P 이라고 한다. 압력 손실(수두 손실) 관계식은 유체역학에서 가장 일반적인 관계식 중 하나이고, 층류와 난류, 원형과 비원형 파이프, 매끈하거나 거친 표면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림 1-1] 파이프 내 유동

[그림 1-1]을 통해 압력손실 P 과 손실수두 h 로 나타낼 수 있다.

1.2 목적 및 의의

파이프의 단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실생활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기에 더 관심있게 살펴보 아야 한다. 대표적인 적용분야는 보일러나 발전소의 파이프 라인, 건축설비에서 의 급수관이나 송수관, 냉각수 공급에서 사용하는 파이프 라인, 건축설비의 급수 관 그리고 소화배관 등이 있다. 수평원관에서 단면확장이나 단면 수축에 의해 발 생하는 손실은 파이프 내의 압력강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계실의 가압펌프 용량을 계산하거나 파이프 라인 중간에 설치하는 가압펌프의 용량을 계산하는데 중요하다. 그래서 무디(Moody)도와 EES에서의 관마찰계수의 차이를 살펴보고 마 찰손실수두(Friction loss head, h )와 오차를 분석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