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실험 목표, 이론 및 원리, 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 목표
산-염기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식초 및 식용 소다 중의 산과 염기 농도를 확인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산 : 수용액에서 수소이온(H+)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
수소이온(양성자) H+ 주개
전자쌍 받개
염기 :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OH-)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
수소이온(양성자) H+ 받개
전자쌍 주개
산-염기 적정 : 산 또는 염기의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염기 또는 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분석법
당량점 : 중화반응을 포함한 모든 적정에서 적정당하는 물질과 적정하는 물질사이에 양적인
관계를 이론적으로 계산해서 구한 점
종말점 : 적정이 끝나는 지점을 뜻하며, 실험자가 정량할 물질에 대하여 당량점에 도달한 양
의 적정액이 가해졌다고 판단하고 적정을 멈추는 지점을 말한다.
표준 용액 : 적정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이미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미지시료
용액 속에 있는 어떤 물질의 농도를 구할 때에 표준으로 사용되는 용액
적정의 종말점 확인
-지시약 사용
자체가 약한 산이나, 약 염기인 복잡한 유기 화합물
최소량 사용
지시약의 종류에 따라 색이 바뀌는 pH범위가 다름
직접 적정 : 적정시약을 반응이 완결 될 때까지 분석 물질에 첨가하여 분석 물질의 농도를 확인
역적정 : 분석물질이 염기(산)인 경우⇒ 농도를 알고 있는 강산(염시)를 과량으로 넣어준 후, 반응하고 남은 강산(염기)를 염기(산)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분석물질의 염기(산)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