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일반물리학실험1] 탄동진자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의 이론(원리)
3. 실험 기구 및 실험 방법
4. 결과 및 분석(분석, 토의,오차 발생 원인)
5. 결론

본문내용

3. 실험 기구 및 실험방법
<실험 기구>
Ÿ 탄동 진자
Ÿ 발사 장치
Ÿ 장전 막대
Ÿ 전자 저울
Ÿ 구형 발사체
Ÿ 진자의 추
Ÿ 안전 안경

<실험방법>
실험, 발사체의 속도 측정
1. 발사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 안경을 착용한다.
2. 공을 잡는 장치와 같은 높이의 탄동 진자 받침대에 포물체 발사 장치를 연결한다.
3. 진자 받침대를 탁자 위에 두고, 흔들리지 않는지 점검한다.
4. 강철 공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5. 진자를 장치에서 분리하고, 진자와 우와 강철 공을 합친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6. 진자를 장치에 다시 설치한다. 진자를 90° 고정 홈에 고정시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7. 장전 막대를 이용하여 발사 장치를 1단으로 누르고, 강철 공을 장전한다. 강철 공이 빠지지 않게 장전 막대를 가만히 꺼낸다.

<중 략>

[발사체를 발사하여 발생한 최고점에서의 진자 각도]
● 발사 단수가 증가 → 각도 증가
● 추의 개수 증가 → 각도 감소
● 강철 공의 진자 각도 > 플라스틱 공의 진자 각도
⇒ 추의 개수가 증가하면 가 증가하여 같은 단수(같은 힘)에 대하여 가속도 감소한다. 따라서 각도의 변화가 적다.
⇒ 강철 공의 질량이 플라스틱 공의 질량보다 크므로 같은 조건(추의 개수, 발사 단수)에서 진자의 각도가 크다.

[실험 분석에 적은 내용을 이용해 구한 속력]
● 발사 단수 증가 → 속력 증가
● 추의 개수 증가 → 비례 또는 반비례 관계 x
● 강철 공의 속력 < 플라스틱 공의 속력 ⇒ 추가 1개 일 때, 2개 일 때의 강철 공과 플라스틱 공의 속력을 각각 비교해 보면 거의 근사한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고 서로 질량이 다른 강철 공과 플라스틱 공의 속력을 비교하면 플라스틱 공의 속력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 발사체(공)의 속력은 추의 개수와 상관없이 발사체의 질량과 발사 장치에서 발생 되는 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