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2-1. 복사선의 흡수
2-2. 흡광도와 투과도의 관계
2-3. Lambert –Beer 법칙

3. 실험 도구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실험 결과 분석 및 토의

7. 실험 시 주의 사항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자외-가시선 분광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분광기를 사용하여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2. 실험 이론
전자 분광학은 흡수 기법이며, 화합물에서 관측되는 색은 흡수되지 않는 가시선의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백색광에서 가시선 스펙트럼의 붉은 색 끝 부분 (약 750mm)의 에너지를 흡 수하면 착물의 색은 푸른색이 되므로 우리는 그 보색을 보게 되는 것이다. 만일 가시선 범위 에 해당하는 복사선을 시료가 흡수하면 검은색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전자 분광법에서는 적 당한 용매 속에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를 가지고 측정한다.

2-1. 복사선의 흡수
자외선, 가시광선과 같은 복사선이 투명한 물질층을 통과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의 복사선의 세기가 선택적으로 감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흡수’라고 한다. 이 때 복사선 에 너지의 일부는 물질의 원자 또는 분자로 이동되고 그 결과 입자는 바닥 에너지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상태, 즉 들뜬 상태로 된다.

<중 략>

2-3. Lambert –Beer 법칙

1) Lambert 법칙
자외선-가시광선은 원자의 전자전이를 일으키는 에너지가 될 수 있다. 원자가 해당 빛의 영 역을 흡수하면 전자전이가 일어나는데, 원소마다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게 되어 전자전 이가 일어나게 된다. 물질에는 무수히 많은 원자가 있고, 그 원자의 종류에 따라 흡광도 그래 프가 제공되는데, 즉 원자의 종류에 따른 투광도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흡광도와 투광도의 관 계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흡광도(A)는 빛이 물질을 통과하는 길이(b)에 따라 달라진다. 빛이 통과하는 길이가 길어질 수록 흡광도 값은 상승하고, 반대로 빛이 투과 되는 길이가 짧으면 흡광도 값은 낮아진다. 즉, 흡광도와 빛의 투과 거리는 비례한다.

2) Beer 법칙
-흡광도 (A)는 빛이 투과 하는 경로에 있는 시료의 농도(c)에 비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