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 conference(심실빈맥), 병태생리 및 간호과정

목차

1. 대상자 briefing
2. 대상자의 질환고찰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briefing
대상자 성별: M 나이: 62세 11개월
과거력: acute MI / Gallbladder stone / congestive cardiomyopathy / DM / CAOD(LAD)
진단명: ventricular tachycardia
입원경위: chest pain으로 00병원 방문 후 시행한 검사 상 VT 소견으로 11/12 본원 ER로 내원함. cardioversion 시행 후 11/13 CAG 후 CCU 입원.
– 입원 당시 V/S: 102/59-144-20-36.4-94%
주호소: chest pain

2) 대상자의 질환고찰
① ventricualr tachycardia의 정의 및 원인, 병태생리
– 정상 심장 전도: SA node → AV node → His bundle → Bundle branch → Purkinje fiber
– 정상동리듬(NSR): 동방결절의 자동적인 탈분극으로 시작
<정상리듬기준>
: QRS군 0.12초이내
: P-R간격 0.12~0.2초 이내
: 모든 QRS군 전 양성 P파의 출현
: P-R간격 일정
: 심박동수: 60~100회/분
→ 심방 부정맥(AF, AFL, PSVT)보다 심실 부정맥(VT, VF, PVC)이 생명에 있어서 더 치명적일 수 있기에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VT(V-tach)은 심부정맥의 종류 중 하나이다. 심부정맥은 3가지의 주요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1. 자동능의 변화
자동능이란 외부자극이 없이 스스로 충동(impulse)을 만들어 탈분극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심장 전도 어디에서나 가능하며 박동조율기 세포 집합인 동방결절에서 가장 탁월하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동방결절의 자동능 변화로, 심박동수가 느려지거나(미주신경자극) 빨라지는(교감신경자극, 저산소증) 부정맥이 발생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