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아동미술영역의 공간의 구성원리
Ⅱ. 공간 활용과 배치
Ⅲ. 가장 효율적인 미술영역 공간 구성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웬펠드의 ‘미술이야말로 교육 중에서 가장 생명력 있는 학습이다’라는 말처럼, 아동에게 미술 활동이란 단순히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아동은 미술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발달시키고 상상력을 키우며 무엇보다도 자연스럽게 자아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미술교육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공간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미술영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전체 흥미영역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전체 보육 환경을 구성하는 데 고려해야할 점은 유아의 심리적 안정, 신체적 안전, 발달적 적합성, 다양성이다. 모든 요소가 중요하고 균형을 잘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을 수는 없다.
그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접근하고 있는 프로스트(J.Frost)의 관점을 살펴보면, 보육실의 영역구성은 크게 동적영역, 정적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물이 있는 영역과 건조한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구성을 살펴본다면, 동적 영역은 활동적이고 건조한 영역과 활동적이고 물이 있는 영역으로, 정적 영역은 조용하고 건조한 영역과 조용하고 물이 있는 영역으로 총 4가지의 구성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동적영역을 살펴보도록 한다. 활동적이고 건조한 영역에는, 역할‧쌓기‧음률 영역은 아동의 활동반경이 넓고 활동 시 소음도 큰 편이기때문에 보육실 안쪽보다 입구에서 가까운 쪽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