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제
2. 결과 노트
본문내용
[과제]
1. 실험에서 정말 스테아르산 “단층막”만 생길까요?
스테아르산은 비극성인 꼬리와 극성인 카복실기로 구성되어있다. 극성인 카복실기 부분이 물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카복실기가 물이랑 섞일 수 있다. 카복실기가 물과 섞이게 되면 카복실기는 이온화가 될 것이다. 따라서 스테아르산 단층막만 생기는 것이 아닌 카복실기의 이온화 또한 생길 수 있다.
헥세인에 스테아르산을 넣는 이유는 헥세인의 성질 때문에 스테아르산을 퍼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스테아르산이 잘 퍼지지 않아 부분적으로 두 개가 겹쳐 있을 수 있고 스테아르산 분자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스테아르산 단층막 뿐만 아니라 카복실기의 이온화 COO 와 두겹이 겹쳐진 이중막, 스테아르산 분자가 아예 없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