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질병명
2. 질병의 정의 및 특성
3. 질병의 원인
4. 질병의 병태생리
5. 질병의 증상
6. 질병의 진단
7. 치료
8. 간호중재
Ⅱ. 임상사례보고서
1. History Taking
2. Record
3. Laboratorial & Diagnostic Test
4. Treatment
5. Nursing Progress
본문내용
1. 질병명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2. 질병의 정의 및 특성
아동의 급성과 만성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
정의
–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때때로 협착을 일으킴에 따라 호흡곤란, 기침, 천명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
특징
– 다양한 자극에 대한 기도 반응성 증가
– 기관지평활근의 수축으로 인한 기관지 경련
– 기도점막의 염증과 부종에 이어 일어나는 기도 내 진한 분비물 축적
3. 질병의 원인
유전적 요인
– 부모가 모두 천식이나 비염이 있는 경우 자녀에게 천식이 생길 확률은 약 70%
–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동에게서 흔히 나타남
환경적 요인
– 찬 공기, 담배연기, 알레르기 유발물질, 바이러스 감염, 스트레스, 운동, 특정 냄새와 약물 등
영유아의 경우 미숙한 호흡기 해부구조가 천식장애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됨
4. 질병의 병태생리
초기 단계 반응
– 알레르겐 또는 기타 자극물질은 예민해진 기도의 비만세포에서 IgE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비만세포 파괴가 일어나 화학적 매개체를 방출함
– 이 매개체들은 자극에 노출된 후 짧은 시간 기관지 수축의 원인이 되며 1~2시간 내에 해소됨
후기 반응
– 기관지 수축이 일어나며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음
– 과거에 초기 반응 없이 나타날 수 있음
5. 질병의 증상
기본적인 증상
– 천명음(wheezing)
다른 증상
– 견축, 비익확장 혹은 협착음
– 마른기침 후 가래를 동반하는 기침으로 변화
– 빈호흡, 기좌호흡
– 불안정, 걱정, 발한
– 호흡노력 동안에 발생한 복부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복통
– 두 팔로 지지한 등을 구부리고 앉은 자세(삼각대 자세)
– 피로와 짧은 호흡으로 인한 먹기, 말하기와 같은 단순 작업 수행의 어려움
– 마른 기침과 천명음, 호흡곤란에 따른 가슴이 조이는 듯한 느낌
– 밤에 기도가 더 좁아지고 분비물이 증가되기 때문에 취침 후에 증상이 악화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