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환자의 무활동 개념화하기
2. 성취감과 즐거움의 결여를 개념화하기
3. 예측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한 활동 차트의 활용
Ⅲ 결론 및 피드백
본문내용
Ⅰ서론
우울한 내담자들을 위한 가장 중요한 초기 목표 중 하나는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다. 성취감이나 즐거움을 주었던 활동을 중단한 상태로 내담자가 가진 불쾌감을 유지 혹은 증가시키는 활동(침대에 머무르기, TV보기, 가만히 앉아있기 등)을 하게 한다. 내담자가 더욱 활동적으로 생활하고, 자신의 노력을 인정해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은 치료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 장에서는 내담자의 감정을 조절함으로써 긍정적 감정을 돕고, 부정적 사고를 합리적인 사고를 전환시켜주며, 우울한 내담자의 비활동성을 활동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주어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의 변화를 돕는다.
Ⅱ본론
1. 환자의 무활동 개념화하기
비활동적인 내담자가 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우울한 내담자들은 우울한 자동적 사고가 자주 개입하지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나 소망, 활동을 통한 변화를 기대하기 마련이다. 내담자의 무활동은 우울한 기분으로 연결되고 성취감이나 즐거움을 느낄 기회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더욱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심한 불쾌감이나 무활동을 경험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상황 : 활동을 시작하는 것에 대해 생각한다.
↓
〔흔한〕 자동적 사고 : “너무 피곤해서 활동을 즐길 수 없을 거야. 친구들이 나와 함께 시간을 보내길 원치 않을 거야. 나는 할 수 없어. 그 어떤 것도 나의 기분을 나아지게 할 수 없어.”
↓
〔흔한〕 감정 반응 : 슬픔, 불안, 절망
↓
〔흔한〕 행동 : 무활동 상태로 남는다.
2. 성취감과 즐거움의 결여를 개념화하기
내담자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때에도 자기 비판적인 자동적 사고 때문에 만족감과 즐거움이 낮은 경우가 많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