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품행 및 적대적 반항장애의 역사와 논쟁점
2. 품행 및 적대적 반항장애의 진단 및 장애에 대한 기술
1) 핵심증상
2) 아동기 발병 및 청소년기 발병 아형
3) 동반이환의 근거한 아형
4) 공격성에 근거한 아형
5) 냉담 – 무정서 특성
6) 흔한 동반이환
3. 발달경과 및 예후
1) 유병률
2) 성차
3) 문화적 차이
4.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1) 성향적 위험요인
2) 환경적 위험요인
3) 보호요인
5. 가능한 발달경로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입장
6. 현재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우리 사회가 교권이 무시당하고 학부모의 악성민원으로 인하여 삶을 포기한 교사들이 있었다. 그리고 흉기 난동사건으로 지나가는 행인들이 다치거나 죽음을 면치 못한 사건도 있었다. 이 외에도 많은 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그들에게 무엇이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자들이 되었는지 정확한 동기와 원인을 알 필요도 있지만 특히 어른이라는 입장에서 우리는 다음 세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아동의 인권은 결국 나와 타인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배려하고 용서하며 돕는 선함을 베풀기를 배우고 행할 때 아동의 인권은 지켜지는 것이고 내세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삶의 본보기와 행함이 다음 세대에게로 잘 흘러갈 수 있도록 마음을 지키고 지혜를 구하는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Ⅱ. 본론
1. 품행 및 적대적 반항장애의 역사와 논쟁점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와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CD)는 아동과 청소년이 정신건강치료에 의뢰되는 가장 흔한 장애 중 하나이며, 보통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처음 진단되고,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자기조절 문제와 관련된 탈억제나 외현화 행동이 특징인 폭넓은 차원의 정신장애이다(미국정신의학회〔APA〕, 2013).
CD는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한 DSM-Ⅱ에서 처음으로 정신과 진단으로 병리적인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사회적 및 공격적 행동이나 비행이 포함되었다. 이후 ODD와 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DSM-Ⅲ에서 처음 소개되었다(APA, 2013).
CD는 정신건강문제(예: 약물남용), 법적 문제(예: 구속가능성), 교육적 문제(예: 학교자퇴), 사회적 문제(예: 결혼부적응), 직업적 문제(예: 직업부적응), 신체건강문제(예: 호흡기능장애)를 포함하여 평생 일어나는 다양한 적응상 문제와 관련된다(Odgers et al., 2007, 2008). 그리고 4~5세 어린 아동의 CD는 5년 후의 행동상 문제나 교육상 문제를 잘 예측하였다(Kim-Cohen et al., 2009).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