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신경심리평가

목차

Ⅰ.서론 ————————————————————— 1

Ⅱ.본론 ————————————————————— 2

1. 뇌 기능 손상과 인간 행동 ———————————————– 2
1) 뇌의 구조와 기능
2) 뇌 손상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
3) DSM-5 주요 신경인지장애 ——————————————— 4
(1) 섬망 ————————————————————– 4
(2) 신경인지장애
2. 신경심리평가 ——————————————————— 7
① 면담 ————————————————————— 7
② 관찰
③ 신경심리평가
1) 신경심리평가의 목적 ————————————————– 8
2) 신경심리 평가의 평가 영역과 신경심리검사 ——————————- 8
(1) 언어 ————————————————————– 8
(2) 지각-운동 ———————————————————- 9
(3) 주의 ————————————————————– 9
(4) 학습과 기억 ——————————————————- 10
(5) 집행기능 ———————————————————- 12
(6) 사회인지 ———————————————————- 12
(7) 선별검사 ———————————————————- 12
(8) 신경심리검사 배터리 ———————————————— 12
3) 신경심리평가 시 고려 사항 ——————————————– 13
4) 신경심리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13
3. 신경심리학 분야의 현재 추세들 —————————————— 14

Ⅲ. 결론 ————————————————————– 14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난 수십 년간 임상심리학 영역 중에서도 신경 심리학 영역은 매우 중요한 성장을 이루었다. 신경심리학 영역의 이러한 성장은 전문적인 신경심리학 관련 학회의 증가, 신경심리학 전공과정을 개설한 대학원 프로그램 수의 증가, 신경심리학적 주제로 쓰여진 논문, 책, 학술지 등으로 반영된다. 신경과학 분야에 속하는 임상신경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뇌구조 사이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임상신경심리학은 지난 20년 동안 심리학 내에서 전문화된 별개의 분야로 성장했다. 임상신경심리학은 뇌 병변과 관련된 행동적 결과 및 기능적 결손을 평가하고 심신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객관적인 방법론을 제공한다. 임상신경심리평가는 Halsted- Reitan, Luria-Nebraska 전지 등 다양한 신경심리학적 검사와 PCIS Vienna Test System, Stim 등 전산신경심리학적 검사를 통한 인지적, 지각적, 운동적, 정서적 기능으로 구성된다. 신경심리학적 평가의 목적은 신경심리학적 기능장애의 확인, 실행 및 모니터링 계획 개발, 재활 프로그램 제작이다. 최근 신경정신과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성정신과 환자의 15~20%가 유기적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 또한 임상신경심리학은 신경행동 기반과 임상 응용 모두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의 뇌를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 중 대표적으로 뇌의 밀도를 재구성해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사진을 제공하는 CT와 MRI, 뇌의 전기적 활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EEG, 신경체계를 자극해 반응강도, 효율성, 민첩성,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신경학적 검사, 인간의 행동을 측정하여 뇌 기능을 평가하는 신경심리검사 등이 있다. 이 장에서는 뇌 기능의 손상이 인간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뇌를 평가하는 방법 중 신경심리평가가 어딴 목적과 절차로 이루어지고, 신경심리평가의 평가 영역과 각 영역별 신경심리검사의 종류 등에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