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2. 본론 1
2.1. 정신역동치료의 개념 1
2.1.1. 프로이트와 무의식 1
2.1.2. 정신분석치료와 역동치료 2
2.1.3. 의식, 무의식, 전의식 2
2.1.4. 성격의 구조 3
2.1.5. 심리성적 발달단계 3
2.1.6. 융의 분석심리학, 아들러 심리학,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4
2.1.7. 도(道) 정신치료 5
2.1.8. 정신역동치료와 마음챙김 5
2.1.9. 정신역동치료와 영성 6
2.1.10. 방어기제의 이해 6
2.1.11. 정신역동치료와 평가 6
2.2. 정신역동치료의 실제 7
2.2.1. 치료기법 7
2.2.2. 정신역동치료 과정 9
2.2.3. 치료자의 태도 10
3. 결론 11
본문내용
I. 서론
인간은 어린 시절 부모와의 경험에서 형성된 마음의 색깔로 세상과 타인을 만나면서 살아간다. 정신역동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자각하고 무의식의 지배를 벗어나도록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역동치료의 개념과 정신역동치료의 실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II. 본론
1.1. 정신역동치료의 개념
1.1.1. 프로이트와 무의식
정신분석이론은 심리적 결정론(psychic determinism)과 무의식(unconscious)이 있다는 두 가지 기본가정으로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기반한 것이다. 한 예로 아동 학대 문제로 상담을 받은 어떤 부인이 상담 과정에서 “어린 시절에 부모에게 당한 대로 내가 똑같이 딸을 학대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며 큰 소리로 통곡하며 눈물을 흘렸다. 이는 개인이 자기의 무의식을 자각하지 못하지만 무의식은 자기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의식은 없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을 뿐 우리의 대뇌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일상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역동치료를 통해 내담자의 마음이 밝아지면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무의식적 내용들이 하나씩 보이게 된다. 개인의 진정한 변화는 무의식이 의식화 되는 것, 몸에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 일상에서 달라진 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총체적 변화가 따르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현재의 자기 갈등이나 정신과적 증상은 과거에 개인이 해결하지 못한 결핍된 감정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질병의 결핍 모델(deficit model)에 의하면 내담자는 발달상의 어떤 이유로든 간에 약해지거나 결핍된 정신구조로 고통을 받고 불안을 느끼면서 심리적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로부터 일상적이 아닌 반응들을 요구한다고 본다. 개인이 하는 생각이나 기대는 이성적이기보다는 무의식적 요구와 관련되어 일어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