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능한 인지행동치료자가 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불쾌감이나 불안이 느껴질 때, 비적응적인 행동에 빠지거나 적응적 행동을 거부할 때, 자신의 기분과 자동적 사고를 관찰하고 식별한다.

2. 자신의 자동적 사고를 적어 본다.
만약 이 단계를 생략한다면,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사고를 적을 때 경험하게 되는 잠재적인 어려움(기회, 동기, 시간, 정력, 희망 등의 부족)을 알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다.
가령, 치료 시간에 과제를 내줄 때, 치료자는 자신과 내담자를 빠르게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만약 내가 이 과제를 한다면 어떤 어려움이 있겠는가?”
– “나라면 동기를 얻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 “이 과제는 합리적인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