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약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6. 가족간호 실무에 미치는 의의
본문내용
원가족문화의 차이는 유교적 효사상과 가부장적 사고방식은 아들과 어머니 간의 밀착관계는 부부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랫동안 유지해온 밀착된 모자관계는 결혼 후에도 고부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부갈등 문제(남편의 미성숙한 자아분화, 시어머니와 남편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와 해결되지 못하고 잠재되어 있는 원가족 갈등문제(부모관계 문제, 형제관계 문제, 가족관계 문제), 생활환경 문제(양육과 동거인에 대한 어려움)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부인의 우울증은 더욱 악화 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