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경과 및 합병증
2. 대상자 사정
1)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
2) 구체적 간호사정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 (영상, 혈액, 일반 화학검사 등)
4) 약물치료 현황
3. 간호진단 5개
본문내용
1) 정의
– 심장 점액종(cardiac myxoma)이란 심장 종양의 양성의 일종
–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음.
– 전이성 종양이 대부분
– 원발성의 경우 약 5-10%를 차지하며 심장종양 부검 시 약 0.002-0.3% 발견되는 매우 드문 질환
– 원발성 종양의 90%는 양성 종양, 10%로는 악성종양
– 점액종은 원발성 심장종양의 대표적인 질환
2) 원인 및 병태생리
– 뚜렷한 원인과 병태생리의 뚜렷한 기전은 나와있지 않다.
– 점액종(myxoma)은 산발성으로 생기고, 30~60대의 여성 에게 주로 발생
– 가족력을 나타냄. (상염색체 우성의 형태, 젊은 남자에게
주로 발생)
– 심방의 난원와 혹은 심방에서 주로 발생 (75%는
좌심방, 20% 우심방, 나머지 5%는 좌,우심실)
– 종양의 성장 형태는 ① 대부분 짧고 넓은 기저부를 가짐.
② 줄기형태
③ 바닥에 넓게 붙어있는 고착형 형태
→ 점액종(myxoma)의 성장률은 다양하며 때떄로 자발적으로 성장이 중지되기도 하지만, 타 장기로 전이되기도 한다.
– 점액종(myxoma)의 운동성은 종양의 경도에 의해 좌우됨.
→ 콜라겐의 양, 부착의 정도, 줄기의 길이와 연관
– 점액종(myxoma)의 표면은 대부분 둥글거나 타원형인 반면, 약 3/1정도는 돌출이 있는 모양 → 부서지기 쉬워 색전증(embolism)을 일으키기 쉬움.
3) 증상과 징후
임상적 증상은 크게 세가지로 나뉘는데
① 심장내 혈류 차단에 의해 폐쇄 증상
– 급성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