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간호진단목록 (우선순위별로)
2.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를 계획, 수행 및 평가
3. 사례연구의 요약
1) 일반적 배경
2) 전반적 사정
3) 구체적 사정
4) 진단적 검사자료 (혈액, 뇨, 영상검사 등)
5) 약물치료현황
6) 자료분석
4. 대상자를 위한 교육계획안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진단 # 1. 비효과적 환기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10월 1일)
• 범주: 영역3. 배설/교환 과4. 호흡기계 기능
• 정의: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 관련요인: 가래, nasal cannula로 O2 3L/min 투여 계속 안 함.
Subjective Data
“(심호흡할 때) 그르렁.. 그르렁.. 가래 때문에 심호흡하기가 힘들어”
“나 이제 숨 잘 쉬는데 산소 이제 빼자”
Objective Data
– nasal cannula로 O2 3L/min 주입 중인데 nasal cannula를 하지 않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 SpO2가 95%이하로 측정되어 심호흡을 할 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와 함께 심호흡을 잘 못하시는 모습이 관찰됨.
– 진해거담제인 ERDOIN 1cap TID P.O로 투여중임.
단기목표
– 2일 내로 대상자의 SpO2가 92%로 상승된다.
장기목표
– 퇴원 시 대상자는 SpO2 95% 이상을 유지한다.
진단적 계획
1. 6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 호흡음을 청진하여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확인한다.
치료적 계획
3. Nasal cannula로 O2 3L/min 주입한다.
4. 처방된 ERDOIN 1cap TID P.O로 복용한다.
이론적근거
1.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신속하게 문제를 확인, 해결하고 빈맥은 발열, 탈수 또는 저산소혈증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성인간호학I, 윤은자 외 11, 수문사, p.628)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