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OR실습 ORIF 수술과정 케이스

목차

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2. 대상자 수술의 문헌고찰
3. 기구 및 장비
4. 절차 및 간호
5.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활동
6. 대상자의 마취 회복상태 관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퇴 경부 골절 정의
– 고관절은 대퇴 골두 및 비구로 이루어진 볼-소켓 모양의 관절로서 체중 부하와 체중 전달의 기능을 가지며 튼튼하고 치밀한 관절막과 비구 순으로 이루어진 안정성이 높은 관절
– 해부학적 구조로 인하여 대퇴 골두 골절은 후방 탈구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고관절 후방 탈구와 동반하여 발생하는 데 후방 탈구의 5-10%에서 발생
– 골절은 대부분 고에너지 손상으로서 손상 기전은 교통사고가 가장 잦으며,
– 레크레이션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낙상이나 스포츠 손상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
– 고관절에 심한 손상을 야기하며 예후가 좋지 않은 골절 중 하나
– 관절낭 내 골절(intracapsular fracture)과 관절낭 외 골절(extracapsular fracture) 구분
– 관절낭 내 골절: 대퇴 경부 골절
– 관절낭 외 골절: 전자 간 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과 전자 하 골절(subtrochanteric fracture)로 구분

▶ 원인
대퇴 경부 골절은 6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잘 발생하며, 여자에게서 호발(70-80%)
손상기전은
① 넘어져서 대전자 부위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② 하지의 외회전에 의한 것
→ 대퇴골두는 앞쪽 관절막과 장대퇴 인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대퇴 경부가 뒤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뒤쪽 피질골이 비구에 부딪치게 되어 경부가 부러지며 경부 뒤쪽의 분쇄가 심함.
③ 순환적 부하(cyclic loading)에 의한 미세 골절(microfracture)이나 육안적 골절(macrofracture)
④ 정상 뼈에서는 문제가 없을 정도의 경미한 염전 손상torsional injury)으로도 골소송증이 있는 뼈에서는 골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종의 피로 골절

젊은 사람의 경우
① 심한 외상에 의한 것으로서, 대개 대퇴골간의 축을 따라 직접 힘이 가해져서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