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국외와 국내의 호중구감소증 관리지침 현황
3. Pender의 건강증진모델 이론을 적용하여 간호사 행위 설명
4. 연구목적
5. 연구대상
6. 연구도구
7. 연구결과
8. 추후 연구방향과 본 연구의 제한점
9.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를 위해 세포독성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이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런데 항암화학요법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골수기능 억제이며, 골수기능 억제는 약물의 용량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심한 호중구감소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하면 감염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호중구감소증은 절대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가 500 cells/µL 미만이거나, 1,000 cells/µL 미만이면서 2~3일 이내에 500 cells/µL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호중구감소증의 심각성에 따라 감염률에 차이가 있는데, 호중구수가 101~500/μL 일 때 감염은 약 20%, 100μL 미만일 때 감염은 약 40%가 발생한다. 따라서 골수기능 장애로 유발되는 호중구감소증은 감염의 선행요인이 되어 암 환자의 임상 결과와 삶의 질에 영향을 줌은 물론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용량 제한적 독성이다. 이처럼 항암화학요법 관련 호중구감소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였을 때 환자에 미치는 폐해가 심각하므로 간호사는 감염의 시작을 나타내는 징후와 증상을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