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사정 Assessment>
주관적 간호사정
– “(발작 도중) 그르렁..그르렁”
– “(발작 도중) 켁..켁”
객관적 간호사정
– 산호포화도 측정기를 계속 부착하고 있음.
– 발작 전 SpO2 99%에서 발작 후 SpO2 83%로 측정됨.
– 발작 시 구강에서 이물질이 나와 아동이 ‘그르릉’ 모습이 자주 관찰됨.
– 발작 후 ABGA 결과 PO2 65mmHg (정상범위: 75-100mmHg) 측정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발작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목표 Nursing Evaluation>
단기: 2일 내로 발작 시 보호자가 대상자를 측위로 눕힐 것이다.
장기: 퇴원 시까지 발작 후 대상자의 SpO2가 95% 이상으로 측정될 것이다.
<간호계획 Nursing Plan>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2.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부착한다.
3. 발작 증상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발작 직후에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suction을 시행한다.
2. SpO2 95%까지 비재호흡마스크로 O2 12L/min 주입한다.
교육적 계획
1. 보호자에게 아동이 발작 시 옆으로 눕힐 것을 교육한다.
– “구강 내 분비물이 기도로 흡인되지 않게 아동의 고개를 옆으로 돌려야 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