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재 선정 교육의 필요성
2. 현재 교육 현황
3. 교재 내용 설계 / 방법
4. 단원구성 및 교재 내용
본문내용
1. 제재 선정 교육의 필요성
-교통을 한국에 생활함에 있어 밀접한 관계가 있음
-관광목적으로 오더라도 가장 먼저 접하는 것이 교통
-대중교통은 보편적이지만 국가별로 차이를 보임
-국가뿐 아니라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임
-그 차이에 따른 시행착오와 실수를 줄이기 위해 필요함
-대부분의 교재가 지하철과 버스의 이용에 대해 그침
-택시까지 범위를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국가별로 요금과 이용방법에 차이가 있음
-특히 일본과 한국의 택시는 요금뿐 아니라 이용방법에 차이가 큼
-또한 일본인과 한국인의 택시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
-한국의 택시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함
-여성 배려칸, 임산부배려석 등 바뀌는 교통문화를 반영하지 못 함
-버스의 도착정보 서비스와 지하철의 와이파이와 휴대폰 무료충전 서비스 등
대중교통에 실용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이 현행 교재에는 부족함
2. 현재 교육 현황
●고려대 한국어 교재
단원 중간에 노약자석과 서울의 대중교통에 대해 간략하게 영어로 제시
문화 부분의 비중이 상당히 작음
●경희한국어 (읽기)
다원 마지막 부분 읽기 자료를 통해 제시
환승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
->부산의 환승제도와는 차이를 보임
한국의 자동차 역사를 간단하게 그림과 제시
–> 외국인 학습자가 흥미 위주로 볼 수는 있지만 실용성이 떨어짐
●연세한국어 2-1
어휘제시 부분에 그림을 통해 한국의 대중교통을 제시
위의 어휘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방법 등을 빈칸 채우기 활동으로 제시
단원 마지막에 서울의 버스 종류에 대해 상세히 제시
-> 부산의 버스체제와는 다르며, 서울 사람도 구체적으로는 잘 알지 못하는 부분도 있음
연세한국어가 문화적 요소를 가장 많이 담고 있음.
단순히 읽고 넘어가는 것이 아닌 활동을 통해 한국의 대중교통 문화를 알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