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건강사정
1) 대상자의 기능적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검진
4)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주사
5) 진단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6) 진단검사(방사선 검사, 핵의학 검사, 초음파 검사, 기타 검사 등)
나. 간호진단
다. 간호과정 #1
다. 간호과정 #2
다. 간호과정 #3
본문내용
#1. 과도한 객담으로 나타나는 비효과적 기침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Subjective: “원래 안 그랬는데, 한 10일 전부터 가래가 끼더라고요.”, “사레는 항상 걸렸지” Objective: Dx. pneumonitis, C.C: 고체, 액체 연하곤란
10/28: Chest CT검사 결과 폐렴을 진단받음. 10/31: 가래로 인한 간헐적인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이를 음식섭취가 유발한 흡인으로 인해 폐렴이 악화되어 발생한 것이라고 보호자에게 설명함. 11/13: sputum culture 결과, Gram(+) cocci, chains: 3+, Gram(-) bacilli: 3+, yeast like cells: 3+, Budding yeast-like cells: 2+,
pseudohyphae: 2+가 관찰됨. 11/14: sputum culture 결과, Gram(+) cocci, chains: 3+, yeast like cells: 2+가 관찰됨. 11/15: 요즘 가래가 많이 껴서 숨쉬기 힘들 때가 있다고 함. 기침을 하기는 하지만 가래를 잘 배출하지 못한다고 함.
<중 략>
번호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가 배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유치도뇨를 제거한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배뇨를 증진시키는 보조요법 활동을 한 가지 이상 시범 보일 수 있다.
#3
<간호계획>
・ 진단적 지시
1. 대상자의 I/O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배뇨량이 감소할 때마다 복부를 촉진하여 방광팽만 여부를 사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